Yesterday : 58
Total : 374,708
목록생활속의 IT 노하우/리눅스 (23)
JunToday.com
로그수집서버로 사용할 서버와 수집대상 서버 모두 rsyslog를 설치하자. # yum install rsyslog 로그수집서버의 conf파일에 아래와 같이 수정하자. # vi /etc/rsyslog.conf # Provides UDP syslog reception $ModLoad imudp
CentOS 6.9 버전을 설치 할 때 구성요소를 다 때려넣고 설치를 했더니 부팅 중에 위와 같은 메세지를 뿌리면서 부팅이 겁내 오래 걸린다. url_helper.py[WARNING] : Calling 'http://169.254.169.254... 설치하면서 cloud-init이 설치가 되서 그렇다고 한다. 이 cloud-Init은 호스트 이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그리고 인증키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가상 머신 초기 설정을 자동화하는 도구인데.. 필요가 없으므로 부팅 후 서비스 중지하고 시작 프로그램에서 해제하면 된다. /etc/init.d/cloud-init stop chkconfig cloud-init off
CentOS 7버전 설치 후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IP설정을 하려하는데.. 간편하게 setup으로 설정하려고 setup명령어를 쳤는데 네트워크 설정하는 메뉴가 없다.. 그럼 수동으로 설정하자.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장치명 IP수정을 하고 네트워크 재시작을 했는데.. 설정 수정은 되었는데 이상하게 적용이 되지 않는다.. 이게 무슨일인가... 당황하지 말고.. nmtui 명령어로 IP설정을 하자.. 끝..
CentOS 6버전에서 사용하던 chkconfig이 CentOS 7버전에서는 사용이 되지 않았다. CentOS 7버전에서는 systemctl enable로 등록한다. 시작프로그램 등록 systemctl enable 서비스명 시작프로그램 해제 systemctl disable 서비스명 이젠 헤매지 말자..
보통 centos 6버전 설치 후 ntfs 설치를 하면 아래처럼 설치가 되지 않는다. # yum install ntfs-3g No package ntfs-3g available. Error: Nothing to do 이럴 때는 epel-release 설치를 하고 다시 설치해보자. # yum install epel-release # yum install ntfs-3g 그럼 아마도 설치가 될 것이다.
리눅스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던 sdb1 디바이스가 I/O 에러와 함께 맛탱이가 가버렸다. localhost kernel: EXT3-fs error (device sdb1): ext3_get_inode_loc: unable to read inode block 서버 하드웨어 로그도 수집할 겸 재부팅을 했는데 부팅 도중 Filesystem check를 하다가 에러가 나면서 응급복구모드로 부팅이 되었다. Checking filesystems 쭉 체크하다가 [FAILED]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file system check *** Dorpping you to a shell; the system will reboot *** when you leave the shell Gi..
2017/12/14 - [생활속의 IT 노하우/리눅스] - 리눅스 lvm 확장/용량 추가 테스트 최근 CentOS6 버전에서 두 개의 LVM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던 것을 하나로 합쳐야 하는 일이 있었다. # df -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볼륨그룹명-LV_03 ext4 99G 2.9G 91G 4% / tmpfs tmpfs 7.7G 0 7.7G 0% /dev/shm /dev/sda1 ext4 477M 33M 419M 8% /boot /dev/mapper/볼륨그룹명-LV_02 ext4 2.6T 2.3T 185G 93% /data02 /dev/mapper/볼륨그룹명-LV_01 ext4 985G 867G 68G 93% /da..
리눅스에서 파일을 전송할 때 ftp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vsftp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ssh포트를 이용하는 scp를 사용하기도 한다. 사용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scp - [보낼파일] [받는서버 계정 아이디]@[받는서버 URL]:[받을 위치 절대 경로] scp - [받는서버 계정 아이디]@[받는서버 URL]:[받을 파일 절대 경로] [받는서버 경로] -r 하위폴더 포함 모두복사 -p 권한과 속성 유지 -C 압축
CentOS6에서는 /etc/sysconfig/network에서 호스트명을 수정하면 적용이 되었었는데 CentOS7 버전을 설치하고 전처럼 호스트명을 설정하려 하니 디폴트 값인 localhost.localdomain이 없어서 당황.. 이제는 명령어로 hostname을 변경하도록 바뀜.. $ hostnamectl set-hostname 호스트명 이렇게 입력하면 변경이 된다.
대충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을 보자면 말 그대로 볼륨을 논리적으로 관리하겠단 뜻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대략적으로 이해가 빠르겠다. 대충 개념을 잡았으면 볼륨 확장 테스트를 해보자. OS는 CentOS release 6.7 (Final) 2.6.32-573.el6.x86_64이고 VM웨어에 설치하여 테스트했다. df(Disk Freespace)명령어로 기존 파티션 확인. # df -Th 추가된 물리적 디스크 인식 확인. # ll /dev/sd* 추가된 디스크로 새 파티션 생성. # fdisk /dev/sdb 현재 잡혀있는 PV(Physical Volume)확인. # pvscan 새로 만든 파티션을 PV(Physical Volume)으로 생성. # pvcreate /dev..